콘텐츠 바로가기
공지사항채용공고입찰공고KCA뉴스카드뉴스설문조사

공지사항

Home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전파검사] 해양 인명구조를 위한 조난 신호 발사 버튼 작동 방법 안내

작성자 : 검사기획팀작성일 : 2025-04-17 16:50329
알림존 노출 요청
과기부 전송
파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해양 인명 구조를 위한 조난 신호 발사 버튼 작동 방법' 을 리플렛으로 제작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립니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문의전화| 1899-5599 www.kca.kr 구조버튼 3 초 가 생명을 살린다! 해양 인명구조를 위한 조난 신호 발사 버튼 작동 방법 How to operate the distress signal launch button for marine lifesaving VHF-DSC D-MF/HF EPIRB E-NAVIGATION VHF-DSC VHF-DSC는 초단파대 무선전화(VHF, Very High Frequency) 통신기에 디지털 선택 호출(DSC, Digital Selective Calling) 기능을 결합하여 선박의 위치를 자동으로 발신하며, 긴급 상황 시 신속한 구조 요청 및 실시간 위치 파악이 가능 VHF 조난신호 발사 작동 방법 전원 켜기 전원 켜기 | 시계 방향 전원 끄기 | 반시계 방향 조난신호 발사 덮개를 열고,3초 이상 누르세요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알림음이 발생하지만 조난신호는 3초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발사됩니다. 조난신호 발사 확인 3초 이상 누르고 손을 떼면, 조난신호 전송완료! 삐~~삐뽀삐뽀~ 전송 알림음과 메세지를 확인해주세요 *손을 떼지 않으면 전송알림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조난신호 발사 종료 전원을 끄면 조난신호 전송 중지! 대기화면 전환 및 알림음이 종료됩니다. *전송중지 방법은 제조사별 차이가 있으며, 통상 CLR 버튼을 눌러 조난 신호 발신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조난신호는 해경과 수협은 물론 20~30해리 범위에 있는 선박들에게도 전달됩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거짓 신고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과태료 처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D-MF/HF D-MF/HF는 중파(MF)와 단파(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먼 거리에서도 긴급상황 시 신속한 구조 요청 및 안전 통신을 할 수 있음 D-MF/HF 조난신호 발사 작동 방법 조난 신호 조난신호 발신 | 덮개를열고3초 이상 누르세요! 3초 후 전송 조난신호 발사 확인 참고사항 ∙조난신호는 해경과 수협은 물론 100해리 범위에 있는 선박들에게도 전달됩니다. ∙정당한 사유 없이 거짓 신고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과태료 처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EPIRB EPIRB는 위성 비상위치지시용무선표지 설비로 위성을 통해 조난 상황을 구조대에 알리는 장치 ※EPIRB: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EPIRB 조난신호 발사 자동작동 조건 자동발사 선박 침몰 시 수압(1.5~4M)에 의하여 이탈 장치와 EPIRB 본체가 분리되어 자동 전파발사 EPIRB 조난신호 발사 수동작동 방법 1.빨간색 부분 고정핀 제거 2.EPIRB 본체 분리 3.덮개열기 4.ON 버튼 3초 누름 EPIRB 조난 신호 발사 및 수색 구조 체계도 E-NAVIGATION E-NAVIGATION은 해상에서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첨단 해상교통정보 시스템으로 선박의 항해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다양한 해상 안전 정보를 통합하여 선박 운항을 지원 긴급 조난 신호 기상 교통 및 긴급정보 E-NAVIGATION 조난신호 발사 작동 방법 1.전원 버튼 누른 후 2.조난버튼 덮개를 열고 3.조난버튼을 3초 이상 누르세요 4.사고 상황 또는 비상 상황이면 예를 누르세요 5.권역센터로 연결 되어음성,영상통화 가능합니다. E-NAVIGATION 리모컨 조난신호 작동 방법 내부 버튼 SOS 발신 SOS 리모컨의 SOS 버튼을 길게 5초 누르면 SOS가 발신되고 LED가 깜빡 외부단말기 버튼 SOS 발신 취소 SOS 리모컨의 SOS 버튼을 짧게 3회 누르면 SOS발신 취소 조난 구조기관 연락처 지방 해양경찰서 연락처 구 분 연락처 지 역 인천해양경찰서 032-650-2000 인천시 서해5도특별경비단 032-835-3000 인천시 평택해양경찰서 031-8046-2000 경기 평택시 속초해양경찰서 033-634-2000 강원 속초시 동해해양경찰서 033-741-2000 강원 동해시 태안해양경찰서 041-950-2000 충남 태안군 보령해양경찰서 041-402-2000 충남 보령시 군산해양경찰서 063-539-2000 전북 군산시 부안해양경찰서 063-928-2000 전북 부안군 목포해양경찰서 061-241-2000 전남 목포시 완도해양경찰서 061-550-2000 전남 완도군 구 분 연락처 지 역 여수해양경찰서 061-840-2000 전남 여수시 포항해양경찰서 054-750-2000 경북 포항시 울진해양경찰서 054-502-2000 경북 울진군 사천해양경찰서 055-830-2000 경남 사천시 통영해양경찰서 055-647-2000 경남 통영시 창원해양경찰서 055-981-2000 경남 창원시 부산해양경찰서 051-664-2000 부산시 울산해양경찰서 052-230-2000 울산시 제주해양경찰서 064-766-2000 제주시 서귀포해양경찰서 064-793-2000 서귀포시 해양경찰 긴급 신고 전화번호 | ☎122 가장 가까운 해양경찰서로 연결되어 신속한 구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협(어선안전조업국)연락처 구 분 연락처 지 역 인천어선안전조업국 032-890-4585 인천시 속초어선안전조업국 033-632-2522 강원 속초시 동해어선안전조업국 033-532-2601 강원 동해시 강릉어선안전조업국 033-662-3604 강원 강릉시 태안어선안전조업국 041-675-1226~7 충남 태안군 보령어선안전조업국 041-931-2639 충남 보령시 군산어선안전조업국 063-442-4488~9 전북 군산시 목포어선안전조업국 061-243-3011 전남 목포시 완도어선안전조업국 061-552-2757 전남 완도군 여수어선안전조업국 061-642-4915~7 전남 여수시 고흥어선안전조업국 061-842-2601 전남 고흥군 구 분 연락처 지 역 포항어선안전조업국 054-276-8801~2 경북 포항시 울진어선안전조업국 054-787-2538 경북 울진군 울릉어선안전조업국 054-791-2361 경북 울릉군 삼천포어선안전조업국 055-833-1630 경남 사천시 통영어선안전조업국 055-645-3141 경남 통영시 창원어선안전조업국 055-221-2183 경남 창원시 부산어선안전조업국 051-418-7043 부산시 울산어선안전조업국 052-251-2147 울산시 제주어선안전조업국 064-759-6336 제주시 선박 무선국 검사기관 연락처 KCA 무선국 검사 관할구역 서울본부 북서울본부 02-2142-2024 02-3151-9900 서울(남부), 경기(중부, 동부) 서울(북부), 경기(북서부) 경인본부 032-442-8701 인천, 경기(서남부) 부산본부 051-440-1005 부산, 울산, 경남 경북본부 053-766-9001 대구, 경북 (포항지사 관할 제외) 전북본부 063-244-1116 전북 충청본부 042-602-0114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전남본부 062-383-5070 광주, 전남(목포, 여수지사 관할제외) 목포지사 061-242-0014 목포, 무안, 신안, 해남, 완도, 진도, 강진, 영암 구 분 연락처 관할구역 여수지사 061-641-5500 여수, 순천, 광양 경북본부 053-766-9001 대구, 경북(포항지사 관할 제외) 포항지자 054-282-2367 포항, 경주, 영덕,울진, 울릉 전북본부 063-244-1116 전북 강원본부 033-732-8501 강원(강릉지사 관할제외) 강릉지사 033-646-9751 강릉, 동해, 속초 등 동해안 제주지사 064-752-0386 제주


해상 조난 상황시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