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한다. 우선 제2장에서는 자격의 효용성 분석을 통해 ICT 분야 국가기술자격 및 취득자에게 어떤 효용이 발생하는지 평가하였다. 특히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5대 상시 지표를 설정, 취업소요기간, 자격취득자의 임금, 고용유지기간, 취업률, 응시인원 변화를 반영하여 평가하였다. 제3장에서는 ICT 전문인력의 현황과 수급전망을 통해 향후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술진보에 따른 업무(task) 또는 업무요소(task element)의 컴퓨터화(computerizaton)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