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Home >

sns공유하기

[미디어 이슈 & 트렌드] [Vol.68 | 글로벌리포트] 북미(미국, 캐나다) 미디어 거버넌스 동향

작성자 : 미디어정책기획팀작성일 : 2025-06-30 16:51482
알림존 노출 요청
파일
첨부파일 전체(압축) 다운로드
북미 미디어 거버넌스의 최신 변화와 시사점 <br>원제. 북미(미국, 캐나다) 미디어 거버넌스 동향 <br>글. 한정훈_K엔터테크허브대표 <br>이수엽_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차장 <br>www.kca.kr북미 미디어 거버넌스의 최신 변화와 시사점
원제. 북미(미국, 캐나다) 미디어 거버넌스 동향
글. 한정훈_K엔터테크허브대표
이수엽_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차장
www.kca.kr
미국 캐나다는 글로벌 미디어 시장의 <br>중심축이자 정책 실험의 선도국가로서 <br>각기 다른 거버넌스 모델을 통해 <br>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고 있습니다.미국 캐나다는 글로벌 미디어 시장의
중심축이자 정책 실험의 선도국가로서
각기 다른 거버넌스 모델을 통해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공영방송 예산지원 중단, <br>빅테크 플랫폼 규제 강화, 데이터·AI 규제 논쟁 등이 <br>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br>또한 디지털 전환, AI 리스크 관리, <br>미디어 다양성·공공성 강화, 데이터 주권 등 <br>복합적인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미국에서는 공영방송 예산지원 중단,
빅테크 플랫폼 규제 강화, 데이터·AI 규제 논쟁 등이
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전환, AI 리스크 관리,
미디어 다양성·공공성 강화, 데이터 주권 등
복합적인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전통적인 레거시 미디어와 신규 플랫폼 간 <br>규제 형평성, 시장 집중화, <br>허위 정보와 딥페이크 등 정보질서 교란, <br>지역 저널리즘의 위기, 공영방송의 지속 가능성, <br>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호 등은 <br>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 미디어 정책의 <br>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전통적인 레거시 미디어와 신규 플랫폼 간
규제 형평성, 시장 집중화,
허위 정보와 딥페이크 등 정보질서 교란,
지역 저널리즘의 위기, 공영방송의 지속 가능성,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호 등은
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 미디어 정책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와 논쟁은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 <br>'규제와 진흥의 균형' <br>'공공성과 혁신의 조화' <br>'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현실의 접목'이라는 <br>새로운 거버넌스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이런 변화와 논쟁은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
'규제와 진흥의 균형'
'공공성과 혁신의 조화'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현실의 접목'이라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캐나다는 최근 온라인 환경 변화와 <br>글로벌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해 <br>CRTC 주도의 온라인 스트리밍법과 <br>온라인 뉴스법을 도입했으며, <br>자국 콘텐츠 보호와 디지털 주권 확보 등에서 <br>적극적인 제도 개편을 추진 중입니다.캐나다는 최근 온라인 환경 변화와
글로벌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해
CRTC 주도의 온라인 스트리밍법과
온라인 뉴스법을 도입했으며,
자국 콘텐츠 보호와 디지털 주권 확보 등에서
적극적인 제도 개편을 추진 중입니다.
캐나다 미디어 거버넌스는 온라인 플랫폼 시대에 맞춰 <br>전통 미디어와 글로벌 플랫폼에 동일한 규제와 의무를 <br>부과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br>앞으로 CRTC를 중심으로 한 규제 체계 정교화와 <br>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상 전략이 <br>캐나다 미디어 화경의 핵심 이슈로 <br>부상할 전망입니다.캐나다 미디어 거버넌스는 온라인 플랫폼 시대에 맞춰
전통 미디어와 글로벌 플랫폼에 동일한 규제와 의무를
부과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CRTC를 중심으로 한 규제 체계 정교화와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상 전략이
캐나다 미디어 화경의 핵심 이슈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한국 역시 플랫폼 규제, 공영방송의 역할 재정립, <br>데이터·AI 거버넌스 등에서 <br>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현실을 조화시키는 <br>정책적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입니다.한국 역시 플랫폼 규제, 공영방송의 역할 재정립,
데이터·AI 거버넌스 등에서
글로벌 트렌드와 국내 현실을 조화시키는
정책적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확인해주세요.

https://www.kca.kr/Media_Issue_Trend/vol68/sub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