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동향자료연구보고서관계법령 및 규정

동향자료

Home > 지식정보 > 동향자료

[미디어 이슈 & 트렌드] [Vol.67 | 국내리포트] 한한령이 해제되어도 과거의 영광은 없다

작성자 : 미디어정책기획팀작성일 : 2025-04-29 14:4076
알림존 노출 요청
파일
첨부파일 전체(압축) 다운로드
한한령 해제 이후 한국 드라마는? <br>원제. 한한령이 해제되어도 과거의 영광은 없다. <br>글. 조영신 미디어산업평론가, PH.D한한령 해제 이후 한국 드라마는?
원제. 한한령이 해제되어도 과거의 영광은 없다.
글. 조영신 미디어산업평론가, PH.D
또 희망 고문이 시작됐습니다. <br>'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기대인데요. <br>'한한령'은 2016년 사드 배치 문제로 <br>중국이 한국 콘텐츠의 수입을 막은 정책입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또 희망 고문이 시작됐습니다.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기대인데요.
'한한령'은 2016년 사드 배치 문제로
중국이 한국 콘텐츠의 수입을 막은 정책입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한한령 전에는 한국 드라마가 <br>중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어요. <br>드라마가 '태양의 후예'는 27억 조회수를 기록했고, <br>판권 구입액이 약 50억 원에 달했습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한한령 전에는 한국 드라마가
중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어요.
드라마가 '태양의 후예'는 27억 조회수를 기록했고,
판권 구입액이 약 50억 원에 달했습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하지만 한한령 동안 <br>중국의 콘텐츠 산업이 크게 성장했어요. <br>영화와 드라마의 품질이 향상되었고, <br>자국 영화 점유율도 80%까지 올라갔습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하지만 한한령 동안
중국의 콘텐츠 산업이 크게 성장했어요.
영화와 드라마의 품질이 향상되었고,
자국 영화 점유율도 80%까지 올라갔습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때문에 한한령이 풀려도 <br>전처럼 한국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지는 <br>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때문에 한한령이 풀려도
전처럼 한국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그럼에도 불구하고 <br>한한령 해제 효과를 기대하는 이유는 <br>넷플릭스에만 의존하던 수익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고, <br>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br>추가로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한령 해제 효과를 기대하는 이유는
넷플릭스에만 의존하던 수익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고,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추가로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새로운 시장형성으로 인해 <br>손익을 유지할 수 있는 <br>최소한의 조건이 만들어 질 것으로 보이며, <br>이는 제작사의 협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새로운 시장형성으로 인해
손익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 만들어 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제작사의 협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비록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한한령 이전 대비 5~60% 수즌으로 감소될 것으로 보여 <br>한한령 해제가 에전 수준의 붐을 일으키지는 못하겠지만, <br>한국 콘텐츠 산업이 생존하고 <br>성장할 수 있는 숨통이 될 수 있습니다. <br>MEDIA ISSUE & TREND VOL.67비록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한한령 이전 대비 5~60% 수즌으로 감소될 것으로 보여
한한령 해제가 에전 수준의 붐을 일으키지는 못하겠지만,
한국 콘텐츠 산업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는 숨통이 될 수 있습니다.
MEDIA ISSUE & TREND VOL.67
더 자세한 원문은 <br>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만든 웹진 &lt;미디어 이슈 & 트렌드&gt;67호에서 <br>모두 무료로 읽거나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br>www.kca.kr 페이지중앙 > 동향자료게시판 <br>MEDIA ISSUE & TREND VOL.67더 자세한 원문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만든 웹진 <미디어 이슈 & 트렌드>67호에서
모두 무료로 읽거나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www.kca.kr 페이지중앙 > 동향자료게시판
MEDIA ISSUE & TREND VOL.67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확인해주세요.

https://www.kca.kr/Media_Issue_Trend/vol67/KCA67_22_domesti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