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방송미디어본부빛마루방송지원단ICT기금관리본부전파기반본부디지털융합본부전파자원기획단ICT자격본부

디지털융합본부

Home > 사업소개 > 디지털융합본부 > 5G특화망(이음5G) > 5G특화망(이음5G)

업무안내디지털 융합·전파 산업 활성화위성망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공공용 주파수 수급계획 관리5G특화망(이음5G)재난방송 자동자막 인프라 구축

5G특화망(이음5G) 소개영상

5G특화망(이음5G)5G 특화망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5G특화망이란? 건물, 공장 등 특정 구역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5G 네트워크 ‘21. 12월, 공모를 통해 명칭 변경 (5G 특화망 -> ‘이음(e-UM)5G’) 초고속 (eMBB), 초저지연(URLLC), 초연결(mMTC)의 5G 특징과 사물과 사회까지 이어준다는 의미 반영 (’ 21.1월) 5G 특화망 정책방안 구축주제, 서비스 제공대상, 도입방식 Type1 : 수요기업, 수요기업 한정, 수요기업이 자가망 설치자 신고 Type2 : 수요기업, 수요기업 + 협력사, 방문객 등 , 수요기업이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Type3 : 제3자 등, 수요기업 + 협력사, 방문객 등, 제3자가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 21.6월) 5G 특화망 주파수 공급방안 대역(폭), 주요내용 28GHz(600MHz) : 26.5 , 28.9, 29.5GHz 4.7GHz(100MHz) : 4.5 , 4.72, 4.82, 5.0GHz
5G 특화망 공급 현황(37개 시설자 82개소, 24년 말 기준)
이음 5G 서비스 이용 절차
  • [할당]
  • 기간통신
  • 사업자
  • 이용 절차
  • 수요자 유형
    • (예비) 기간통신사업자
    접수처
    • 과기정통부
    제출서류
    • 주파수할당
    • 1. 할당신청서
    • 2. 주파수 이용계획서(서비스 조정대상 영역 작성서 포함)
    • 3. 서비스 제공 동의서(필요시)
    • 4. 서약서
    • 사업자 등록
    • 1. 기간통신사업 등록 신청서
    • 2. 사업계획서
    • 3. 법인 정관 사본
    • 4. 주식 등의 소유에 관한 서류
    • 5. 이용약관
    • 6. 이용자 보호 기구의 설치현황, 운영계획서
    • 7. 사업용 주요 설비 내역 설치장소를 기재한 서류
    • 8. 통신망 구성도
  • 심사방식
    • 할당심사위원회 통한 할당심사
    심사항목
    • 주파수 할당
    • 신청 절차 및 방법 등
    • 세부사항 고시
    • 별표 3의 2 참고
    심사기간
    • 신청일로부터 1개월 이내
  • 개설 방법
    • 주파수 할당 완료 이후 무선국 개설(신고)
    신고 접수처
    • 중앙전파관리소
    무선국 검사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점검 사항
    • 할당조건에 따른 무선국 개설 규모 등 이행 점검
    공동사용 조정
    • 인접 지역/대역 이용자와 주파수 공동사용 조정
      • 서비스 및 조정대상 영역 확인
  • 갱신방식
    • 주파수 재할당 절차
  • [지정]
  • 자가전기통신설비
  • 설치자
  • 이용 절차
  • 수요자 유형
    • 국가·지자체 및 공공기관 자가망 설치 희망자
    접수처
    • 과기정통부(전파관리소)
    제출서류
    • 1. 무선국 개설허가 신청서(무선설비의 시설개요서, 공사설계서)
    • 2. 서비스·조정대상 영역 작성서
    • 3. 서비스 제공 동의서(필요시)
    • 4. 공공용 주파수 이용계획서(국가, 지자체, 공공 대상)
  • 심사방식
    • 과기정통부(전파관리소) 지정심사
    심사항목
    • 주파수지정 가능성
    • 기술기준 적합성
    • 무선종사자 적합성
    • 무선국 개설조건
    심사기간
    • 14일 이내
  • 개설 방법
    • 주파수 지정과 동시에 무선국 개설(허가)
    허가 기관
    • 중앙전파관리소
    무선국 검사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 점검 사항
    • 무선국 개설허가 조건에 따른 무선국 운용에 관한 사항 점검
    공동사용 조정
    • 인접 지역/대역 이용자와 주파수 공동사용 조정
      • 서비스 및 조정대상 영역 확인
  • 갱신방식
    • 무선국 재허가
      (통상 5년 주기)
이음 5G 서비스 지원센터 오시는 길
주소
(30128)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790, 디펠리체 5층
대표전화
044-903-8893
E-MAIL
local5g@kca.kr
문의시간
오전 09:00~오후06:00
상담요일
월요일~금요일

대중교통 이용시
·(KTX서울역 이용시) - KTX서울역 탑승 → BRT 990번,1001번,751번 탑승 → "다정동(성남고등학교)정류장" 하차 후 도보 약5분
·(고속버스 이용시) - 서울고속버스터미널탑승 → 세종청사터미널 하차 → 1001번,990번,751번,430번,991번탑승 → "다정동(성남고등학교)정류장" 하차 후 도보 약5분

자가용(서울출발)
·(서울출발) → 경부고속도로 → 천안분기점에서"광주,전주,세종"방면으로 우측방향 → 논산천안고속도로 → 풍세하톨게이트 → 정안IC에서"세종,정안,마곡사" 방면으로 우측방향 → 정안톨게이트 → 어물1~3터널과 수산터널 진입 → "시청,도담동"방면으로 우회전 → 한누리대로를 따라 2.3km 직진 후 좌회전 → 나성북1로를 따라 253m직진 후 우회전 → 49m 직진 후 우회전 → 디펠리체 건물5층

5G 특화망 주파수 관리 및 활성화 지원

업무개요
5G 특화망 주파수 공급, 정보 공유, 장비단말 실증 사후관리 등 전담 지원
주요업무
가. 주파수 신청 수요자 지원
- (행정기술 지원) 할당/지정 절차, 전파사용료/할당대가,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및 주파수 소요량 산정 등 분석 지원
- (지원포털 운영) 주파수 이용절차 안내, 이용현황, 기술정보, 서비스 사례, 관련 산업체 홍보 등(https://spectrummap.kr/eum5gportal/)
나. 5G 특화망 공급 및 활성화 지원
- (장비단말서비스 실증지원) 5G 특화망 관련 장비단말 연구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참여, 서비스 시험 지원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 (생태계 활성화 지원) ‘5G 특화망 가이드라인’개정, 세미나간담담회 개최참여, 정책 개발, 제도 개선 연구반 운영 등
다. 주파수 이용 사후관리 지원
- (주파수 공동사용 지원) 공동사용에 따른 주파수 인접 5G 특화망 간섭 발생 시 이용구역 조정, 운영자간 상호협의 등 간섭조정 지원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