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방송미디어본부빛마루방송지원단ICT기금관리본부전파기반본부디지털융합본부전파자원기획단ICT자격본부

ICT기금관리본부

Home > 사업소개 > ICT기금관리본부 > 업무안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ICT기금관리본부 소개이미지 ICT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아이콘이 연결된 시각적표현
ICT 기금관리본부

국가의 디지털 혁신과 ICT경쟁력 강화를 위해 ICT기금운용과 기금사업관리(비R&D) 및 성과확산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소개영상
KCA는 방송통신발전기금·정보통신진흥기금의 관리기관으로써,
안정적 기금운용과 효율적인 기금사업 관리를 통해 ICT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ICT 기금이란?

“ICT기금은 방송·통신 등 우리나라 ICT 산업과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기금입니다.”

  •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 24조(방송통신발전기금의 설치)
  •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 41조(정보통신진흥기금의 설치)
새로운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AI,SW,사어버보안 기술등 ICT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더 똑똑한 AI로봇을 만들거나 해킹을 막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쓰입니다. 더편리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만들기 위해 통신을 더 빠르고 안전하게 만들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있도록 해줍니다. 인터넷이 잘 되지 않는 도서 산간 지역의 인터넷 연결을 도와줍니다.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영상, 게임, 드라마 같은 K-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줍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재능이 있는 인재가 기줏을 잘 배울수 있또록 학생들이 코딩을 배우거나, 새로운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을 지원합니다. 미래에 더 많은 사람들이 기술을 잘 다룰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민생지원을 강화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병원에서 더 빠르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CT국가사업을 통해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누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기금재원 조성

“ICT기금은 방송사분담금과 주파수 할당대가로 구성됩니다.”

  •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 25조(기금의 조성)
  •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 42조(기금의 조성)
방송사분담금 우리나라에서 방송을 하려면 방송사들은 주파수라는 중요한 자원을 사용해야합니다. 주파수는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관리하고, 방송사업자에게 사용료를 받는데, 이 사용료가 바로 방송사 분담금입니다. 주파수 할당 대가 주파수는 무선으로 신호를 보내는 데 필요한 보이지 않는 길로, 중요한 국가 자원입니다. ex)스마트폰, 라디오, TV가 신호를 받는 데 사용 정보눈 이 주파수를 관리하여 통신사업자에게 빌려주고, 통신사업자는 사용료를 받는데, 이 사용료가 주파수 할당대가 입니다. ex) SKT, KT, LGU+ 등 통신사업자 방송통신발전기금 정보통신진흥기금 ICT 기금 우리나라 방송통신 인터넷 그리고 새로운 첨단기술과 ICT산업을 발전하는데 사용
1 방송사분담금
  • 우리나라에서 방송을 하려면 방송사들은 주파수라는 중요한 자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 주파수는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관리하고, 방송사업자에게 사용료를 받는데, 이 사용료가 바로 방송사 분담금입니다.
2 주파수할당대가
  • 주파수는 무선으로 신호를 보내는 데 필요한 보이지 않는 길로, 중요한 국가 자원입니다. ex) 스마트폰, 라디오, TV가 신호를 받는 데 사용
  • 정부는 이 주파수를 관리하여 통신사업자에게 빌려주고, 통신사업자는 사용료를 받는데, 이 사용료가 주파수 할당대가 입니다. ex) SKT, KT, LGU+ 등 통신사업자

1 방송사분담금과 2 주파수할당대가를 합한것이 즉 방송통신발전기금, 정보통신징흥 기금이 ICT 기금, "우리나라 방송 통신 인터넷 그리고 새로운 첨단기술과 ICT산업을 발전하는 데 사용"

기금운용 · 관리

“KCA ICT기금관리본부는 이렇게 조성된 기금을 운용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시행령 제16조(기금에 관한 사무의 위탁)
  •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 45조(기금의 운용 관리)
 운용관리 전략적으로 기금 재원을 운용하고 선제적 위험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재정수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ICT기관과 기업이 원할하게 기금사업을 수행하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사업비를 적시에 교부하고 있습니다. 금융,경제 상황 분석을 통해서 전략적으로 재원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합니다. 위험관리 안전한 투자상품 발굴을 통해 추가 재원을 마련함으로써, ICT기술과 산업발전을 위해 더 많은 사업비를 지원해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투자상품의 위험성과 수익율을 매일 점검하고 있습니다. 자산운용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서 기금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금사업관리

“재정누수 방지를 위한 법제도 교육 및 시스템을 통해 사업수행자의 업무효율성을 향상합니다.”

  • 기금사업 점검계획 등에 관한 지침제3조(관리기관 등의 권한과 책임)
기금성과관리

“기금사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분석을 통해 재정 투입대비 사업효과성 등 정책성과 도출과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 기금사업 결과 평가 등에 관한 지침 제13조(기금사업의 성과분석 등)
성과발굴 확산 최첨단 기술 및 성과를 찾아서 알리기 기금 투입을 통해 창출한 AI,미디어콘텐츠, 이러한 결과를 더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홍보합니다. 새롭고 중요한 성과를 발굴해서 해당 기술과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우리나라의 기술과 기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만듭니다. 성과발굴 확산 최첨단 기술 및 성과를 찾아서 알리기 기금 투입을 통해 창출한 AI,미디어콘텐츠, 이러한 결과를 더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홍보합니다. 새롭고 중요한 성과를 발굴해서 해당 기술과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어, 우리나라의 기술과 기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만듭니다. 우수기업 판로개척 기업이 세계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 기금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기업이 만든 제품이나 기술이 다른 나라로 수출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해외에서 새로운 고객과 시장을 찾도록 판로개척을 지원해주고, 기술이 뛰어난 기업이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 ICT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듭니다.
 대한민국 디지털 생태계 성장동력 지원을 위한 ICT기금관리 전문기관 1. 기금 재정 안정화 기금 수입재원 확보 및 지출 효율화로 재정 건정성 확충 통신사업자(SK 텔레콤, LGU 플러스,KT 주파수할당대가 수입 ICT 기금(방송통신발전기금+정보통신진흥기금) 수입=지출 균형예산 편성 방송사업자 KBS,MBC,SBS,JTBC,CHANNEL,MBN,TV조선,SKYLIFE,NS홈쇼핑,GSSHOP, LOTTE 2. 기금 여유자금 운용 전략적 금융상품 투자와 선제적 위험관리로 안정적 재정수익 확보 투자 포트폴리오 확정형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우체국예금 하나은행, 농협, 신한은행 실적형 한화자산운용,DB금융투자,미래애셋,삼성전자운용,한국투자신탁운용 위험관리 시장위험,신용위험,유동성위험,운영위험 수익 오르고 손실 떨어지고 3.기금지원사업관리 사업비 교부, 실태점검,시스템,성과창출까지 기금사업 전주기 행정서비스 지원 사업비 교부 글로벌화 사업화 표준화 기술개발 기반조성 인력양성 사업관리 재도개선 실태점검 시스템지원 1. 디지털 기술 미래 산업 육성 생성헝 AI, 6G, 양자통신 등 디지털 핵심 기술개발 2. 디지털 SOC 인프라 기반 조성 5G특화망, 디지털트윈,AI인프라, 디지털플랫폼 정부 3.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제작지원 OTT플랫폼 콘텐츠 산업 글로벌 시장 창출지원 4.인재 육성 디지털 포용 사회구현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통신비 절감, 정보소외계청 통신망 구축
아카이브